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179)
[시황]3대지수 혼조 마감... 고용보고서 발표 주목 8월 4일. 미국 주식 시장은 혼조세 마감했다. 시장 가격 다우와 S&P500은 각각 0.26%, 0.08% 하락했고, 나스닥은 0.41% 상승 마감했다.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은 7.90bp하락한 2.677% , 2년물 수익률은 6.05bp 하락한 3.045%를 나타냈다. 10년물과 2년물의 격차는 -35.4bp에서 -36.8pb로 마이너스 폭이 확대됐다. 이는 과거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더 하락폭이 깊다. 달러 인덱스는 0.61% 하락한 105.736을 기록했다. 달러화 약세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바탕으로 미국채 수익률이 하락세로 돌아사면서다. WTI는 2.12달러 하락한 88.54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 가격은 2월 2일 이후 최저치다. 유가는 미국의 원유재고가 예상과 달리 ..
우버 22년 2분기 실적...매출 2배 성장에 주가 18% 급등 우버가 2022년 8월 2일 개장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80.7억달러를 달성,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그러나 26억달러 순손실, EPS는 주당 1.33달러 손실을 냈다. 우버가 기록한 26억 달러의 순 손실은 오로라, 그랩, 조마토에 대한 지분 재평가 및 지분 투자와 관련된 손실이 컸다. 그러나 주가는 18% 급등하며 마감했다. 이는 매출이 시장 예측치인 73.6억달러보다 훨씬 높은 80.7억달러를 기록했고, 사상 처음으로 잉여현금흐름이 플러스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사업부분별 매출은 모빌리티와 화물/운송 분야에서 100% 이상 성장했으며, 딜러비리도 37%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100% 이상 성장,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99%, 라틴아메리카에서 57%, 아시아..
애플 22년 3분기 실적발표...애플이 애플했다. 글로벌 시가총액 1위 기업 애플이 7월 28일, 회계년도 3분기(4월 ~ 6월) 실적을 발표했다. 애플은 중국의 봉쇄, 인플레이션 압력에도 불구하고 매출과 주당순이익 모두 시장의 컨센서스를 웃도는 실적을 거뒀다. 실적 개요 매출은 829억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시장의 예측치인 826억달러를 소폭 상회했다. 주당순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8% 감소한 1.2달러를 기록했지만, 시장의 예상치인 1.16달러를 뛰어 넘었다. 주당 순이익은 2020년 3분기 이후 최저치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 하락한 231억달러, 순이익도 11% 감소한 194억달러를 기록했다. 제품별 매출 세부 실적 지표도 나쁘지 않았다. 아이폰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406억달러로 7분기 연속 상스했다...
그랩(Grab) 호실적에 주가 급등 동남아시아의 우버, 그랩이 예상치를 상회하는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1분기 매출 : 2억 2,800만 달러 (추정치 : 1억 2,270만달러) 배달사업 수익은 9100만달러로 70% 급증 모빌리티 비지니스 수익은 1억 1,200만 달러로 22% 감소 금융서비스 수익은 1100만 달러 증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50억달러-> 34억 달라로 감소 영업손실은 4억 3,500만달러 전년동기대비 35% 개선 연간 매출 : 12억 ~ 13억 달러(추청치 : 9억 5,530만달러) https://finance.yahoo.com/news/grab-reports-first-quarter-2022-112900496.html Grab Reports First Quarter 2022 Results SINGAPORE, Ma..
[미국주식 투자기록]생존전략을 짜야될 시기 계좌가 녹고 있다. 이제는 생존 전략을 짜야된다. 미중무역전쟁, 코로나 이래로 최대의 위기가 닥쳤다. 올해 수익률을 보면 나스닥이 다시 20%가까이 하락중이다. S&P500지수도 10%이상 하락했다. 베어마켓에 다시 진입했다. 나스닥100은 다시 전 저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13,000선마저 위태롭다.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여기에 빅스텝 금리인상에 양적 긴축까지... 올해 초부터 증시를 괴롭혀왔던 이슈들이지만, 여전히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내 계좌도 연초 대비 -12% 폭락중이다. 지난 2월보다 더 크게 손실을 보고 있다. 지금까지는 방망이 짧게 잡고 2일 떨어지면 조금씩 분할 매수 전략으로 대응해 왔다. 매수 금은 높아졌는데, 잔고는 더 마이너스가 돼 버렸다. 계속..
[미국주식 투자기록]나스닥100 파멸적 상승.. 주간 8.44% 급등 이번주 불확실성 2개가 해소됐다. 3월 FOMC회의가 끝났고,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이 지났다. 시장은 안도 랠리가 펼쳐졌다. 나스닥100은 8.44% 상승했고, S&P500은 5.83%, 다우는 4.74% 급등했다. 이는 2020년 11월 이후 16개월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3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 올린 0.25~0.50%로 상향했다. 2018년 이후 첫 인상이다.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 올해 기준금리 중간값이 1.9%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은 남은 6번의 회의에서 모두 한차례 금리가 인상될 것을 예상하고 있다. 또 5월부터 양적긴축(QT)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미국 경제는 매우 강하다,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은 특별히..
[미국주식 투자기록]극심한 공포구간 이번주 미국 시장은 극심한 공포 구간에서 움직였다. 그만큼 변동성도 심했다. 25포인트부터 극심한 공포 구간인데, 이번주는 12~15구간에서 움직였다. 2020년 코로나 펜데믹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찍었다. 다음주 FOMC 회의와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더 낮아질수도 있다. 이번주 2월 CPI 발표됐다. 시장예상치에 부합하는 7.9%를 찍었다. 물가가 8% 가까이 오른건 1980년대 이후 처음이다. 러시아 침공이 2월 말에 있었으니, 3월 CPI는 8%대로 예상된다. 아직 피크아웃이 아니다. 가장 많이 오른건 중고차로 전년대비 41%나 올랐다. 유가 38%, 가스 23% 식음료 13%... 올라도 너무 오르고 있다. 우리나라 휘발유값도 리터당 2천 돌파 직전이다. 좋은 소식이 없다..
[미국주식 점검]엔비디아(NVDA) 고점대비 30% 폭락중... 애널리스트 "Strong Buy" 기술주들이 올해 힘을 못쓰고 있다. 아무리 실적이 좋아도, 금리 인상 시기에는 기업의 밸류에이션이 타격받기 때문에 조정은 피할수 없다. 엔비디아도 최근 고점대비 30% 이상 빠졌다. 쌍바닥을 찍고 상승하는 추세이긴하나, 본격적인 금리 인상이 시작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른다. 불행히도 엔비디아는 지난 2월 25일 해커들의 공격을 받았다. 회사는 이 사실은 인정했지만 정확한 내용은 조사중이라고만 밝혔다. 해킹을 시도한 단체는 "랩서스"로 엔비디아 서버에서 드라이버, 회로도, 펌웨어 등 중요 정보가 포함된 1TB의 데이터를 탈취했다고 주장했다. 엔비디아 해커 "회로도 포함 1TB 데이터 빼냈다" 미국 그래픽칩(GPU) 설계 업체 엔비디아가 사이버공격을 받았다고 인정한 가운데, 남미 기반 해킹 그룹 랩서스(LAP..
[미국주식 투자기록]나스닥 역대급 이말올... 전쟁 불확실성 해소 중 결국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했다. 나스닥100 선물은 13,025 포인트까지 하락했다가 이날 최고 13,983 포인트까지 상승했다. 하루 동안 1000포인트 가까운 등락이 있었다. 저점대비 7.36% 상승했으니 역대급 "이말올"이라 할 수 있다. 다행인것은 미국이나 유럽, 나토의 참전 소식이 없었다는 것이다. 만약 이들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가담했다면, 세계 3차대전으로 확대될 수도 있었다. 미국 주식시장은 빠르게 회복해서 주간 기준 약보합으로 마무리됐다. 다우는 - 0.95%, 나스닥100은 -0.35%, S&P500은 -0.18% 마감했다. 미국채 10년물과 2년물의 장단기 금리차는 계속 하락해서 0.42까지 줄었다. 3월 FOMC 회의에서 금리인상이 확실시되기 때문에, 이 수치가 더 내려갈..
[미국주식 투자기록]인플레이션, 금리인상에 전쟁이슈까지... 봄은 언제 오나? 주식시장의 하방 압력으로 힘든 한주가 계속되고 있다. 엔비디아도 좋은 실적을 발표했지만, 상승률 둔화 이슈로 7% 급락했다. 아니 60%대 이익을 내고 있는 회사가 어떻게 이익들 더 확대해야 된다는 말인가. 말도 안되지만, 지금 시장이 이렇다. 고평가 받고 있는 기업들은 조금이나마 기대에 못미치면 바로 급락행이다. 미국의 3대 지수 모두 하락했다. 주초 좋은 흐름을 보였던 주가지수는 2월 17일 목요일 러시아와 우크라니아의 전쟁 이슈가 터지면서 시장이 급락했다. S&P500이 -1.38%, 다우존스 -1.44%, 나스닥이 -2.01% 하락했다. 올해들어(YTD)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이슈로 기술주, 성장주는 많이 빠졌다. 마이크로소프트가 -14.39%, 테슬라 -18.91%, 엔비디아 -19.61% 급..